■ 박주근 / CEO 스코어 대표<br /><br />[앵커]<br />매주 목요일, 한 주간의 재계와 주요 CEO 동향 살펴보는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도 박주근 CEO스코어 대표와 함께 합니다.<br /><br />지난달 28일 삼성그룹은 미래전략실을 해체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2월 국회 청문회에서 미래전략실 해체를 공언한 지 3개월 만에 실행된 겁니다.<br /><br />1959년 창업주 이병철 회장 시절 비서실에서 출발한 미래전략실이 58년 만에 완전히 해체하게 된 건데요, 역사부터 짚어볼까요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네, 미래전략실은 1959년 창업주 이병철 회장의 비서실에서 출발합니다.<br /><br />외환위기 시절인 1998년 구조조정본부(구조본)로 이름으로 바꿨고, 2006년 이른바 'X파일' 사건으로 불법 정치자금 조성과 증여가 드러나자 삼성은 구조본을 축소키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이후 전략기획실로 이름을 바꾸고 규모가 줄었죠.<br /><br />2008년에는 '삼성특검'으로 수조 원대 차명계좌 운용 등 불법행위가 드러나 이건희 삼성 회장이 기소된 뒤에는 경영쇄신안이 나오면서 전략기획실도 해체 운명을 맞았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막후에서 조정 활동은 계속됐고 삼성은 2010년 전략기획실을 부활하면서 지금의 미래전략실로 이름을 바꿔 달았습니다.<br /><br />미전실을 맡은 사람들은 그룹의 2인자로 이학수, 김순택, 최지성 부회장이 차례로 맡았습니다.<br /><br />해체된 미전실은 전략, 기획, 인사, 법무, 커뮤니케이션(홍보), 경영진단, 금융일류화 등의 7개 팀으로 이뤄져 있고 각 계열사에서 파견된 200여 명의 임직원으로 구성되었습니다.<br /><br />향후 7개 팀의 역할과 임직원들은 각 계열사로 권한의 위임과 함께 이동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과거 삼성이 ‘패스트 팔로워'로서의 위치에 있을 때는 그룹의 컨터롤타워의 역할이 중요했을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삼성은 이미 반도체, 스마트폰, 가전 등 많은 부분에서 이미 패스트 팔로워가 아니라 '퍼스트 무버'가 되었습니다. 이런 변화된 환경에서는 일사불란한 시스템보다는 투명하면서 유연하고 창의적인 조직이 필요할 것입니다.<br /><br />뿐만 아니라 미전실의 의사결정은 권한은 있지만, 책임에서는 자유로웠습니다. 때때로 이번 사건처럼 경영권 승계와 비자금 조성, 불법정치자금 제공 등 불법행위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보다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쇄신실천으로 삼성이 투명하고 경쟁력 있는 한국의 대표 글로벌기업으로 거듭나기를 바랍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90_2017030216185767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